ML

[ML] Generative learning algorithm

mingyung 2023. 10. 8. 17:47

베이즈 정리

  • P(A|B): 사건 B가 주어졌을 때 사건 A의 조건부 확률 (A가 일어날 확률)
  • P(B|A): 사건 A가 주어졌을 때 사건 B의 조건부 확률 (B가 일어날 확률)
  • P(A): 사건 A의 사전 확률 (B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없을 때 A가 일어날 확률)
  • P(B): 사건 B의 사전 확률 (A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없을 때 B가 일어날 확률)

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 P(A|B)를 알고 싶을 때, P(B|A)의 확률을 이용하여 알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

Generative learning algorithm

generative learning algorithm에서 베이즈 정리를 통해 모델을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.

generative learning algorithm에서는 데이터의 기반이 되는 확률 분포 p(x|y)를 학습하고, 이를 통해 p(y|x)를 계산하여 classfication하거나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이다.

 

→ 즉, 관측된 사실 likelihood P(X|Y)를 기반으로 하여 posterior P(Y|X)를 구한다.

 

위의 식과 완전히 동일한 식이지만, 보기 편하도록 한번 더 작성했다.

  • P(X|Y) : likelihood. 실제 관측된 데이터의 결과로, 주어진 해당 모델에서 데이터가 관측된 확률을 말한다.
  • P(Y) : prior. 모델에 대한 사전지식, 데이터의 분포에 대한 초기 추정을 나타냄.
  • P(X) : evidenve.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확률
  • P(Y|X) : posterior. 우리가 알고자 하는 값. x데이터가 주어졌을때 y일 확률.

 

예시

예시를 통해서 generative learning algorithm에 대해 이해해보자.

 

문제)

  • salmon(y=0)과 seabass(y=1)를 classification하려고 한다.
  • 만약 p(y=0|x)>p(y=1|x)이라면, x데이터는 salmon으로 classification한다.
  • likelihood에 대한 정보는 이미 주어져있다(관측 결과)

Sol)

Classification을 위해서 각 데이터 x가 주어졌을때 개별 class에 포함될 확률을 구해야 한다. (posterior를 구해야 한다)

다음과 같이 posterior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.